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Listen과 Hear의 심오한 차이점(사전적의미, 문장의 차이, 지각동사의미,단어와 인생)

일상과 생각/언어와 생활

by hi쭌 2025. 1. 17. 08:30

본문

320x100
300x250

지인으로부터 다이어리를 받았다. 기독교 신앙과 관련이 포함된 다이어리로 표지에 "Listen and hear ~ " 시작하는 다이어리였다. 가족들과 갑자기 이야기를 했다. 같은 '듣다'인데, 무슨 차이인지 유추하기 시작하였다. 의미의 궁금증은 해결이 되었다. 영어식 단어에는 같은 단어이지만 억양에 따라서 또는 같은 의미인데도 약간의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기는 하다. 중고등학교 때나 직장생활에서 영어는 필수였던 것 같다. 이제는 별로 쓸 일은 없지만, 굳어가는 머리를 상식선에서 정리하고 싶은 생각에 두 단어의 의미를 정리하여 보았다. 


 

1.Listen와 Hear 의 언어적 차이점

Listen과 hear의 의미차이
<Listen과 hear의 의미>

1) 국어 사전에서의 '듣다' 

  국어 사전에서는 '듣다'를 '귀로 소리, 말 따위를 알아차리다'라고 정의하며, 'listen'과 'hear'에 대응하는 '듣다'의 세부적인 의미는 명확히 구분이 없음

 

2) 영어 사전에서의 '듣다' 

Listen - 의식적인 행위로, 우리가 의도적으로 귀 기울여 듣는 것을 의미
- 소리에 주의를 기울여 듣는 것을 의미
- 소리를 듣기 위해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의미
Hear - 듣는 행위 자체를 의미하며, 우리에게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사건
- 단순히 무언가를 듣는다는 의미
- 청각을 통해 인지하는 것을 의미

즉, 온갖 세상의 소음(소리)을 자연스럽게 듣고 있을 때는 'hear'라고 할 수 있고, 온갖 세상의 소음 중에 차소리에 귀 기울인다면 'Listen'이라고 할 수 있다. 집중하느냐 안 하느냐의 차이다.

  • I hear the sound of cars. 나는 차소리를 들었다. [의도치 않게 그냥]
  • I listen to the sound of the car 나는 차소리를 귀기울여 들었다. [차에 집중해서 심혈을 기울여]

 대학교시절이나 직장시절에 TOEIC(SPEAKING) 듣기평가시에 매 문제의 문장 중에 'Listening test'라는 단어가 있다. 여기서 의도와 목적이 있는 있기에 '듣기 평가', hearing test는 무언가 그러면, 있는 그대로 들을 수 있는지에 대한 테스트이므로 '청력평가 또는 청력테스트'라고 할 수 있으니 참고하면 되겠다. 

 

두 단어의 차이는 행위에 대한 의도성 여부이다. 
'Listen' 능동적으로 주의를 기울이고 처리/ 이해 /행위 (경청)
'hear'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의미 (알아듣다)

 
300x250

 

3) Listen 과 hear 용법

  ① 'listen'은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됩니다.

  • 주의를 기울여 들을 때: 음악 감상, 강의, 대화 등
  • 특정 소리에 집중할 때: 누군가의 말, 새소리, 특정 악기 소리 등
  • 충고나 조언을 들을 때: 선생님의 말씀, 부모님의 조언 등

참고로  'listen'은 목적어를 취할 때 전치사 'to'를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다. (예: "음악을 듣다"는 "listen to music")

 

② 'hear'은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됩니다.

  • 의도하지 않은 소리를 들을 때: 갑작스러운 소음, 주변의 대화 소리 등
  • 소식이나 정보를 들을 때: 뉴스, 소문, 이야기 등
  • 청력과 관련된 표현: 잘 들리다, 안 들리다 등

참고로 'hear'(지각동사)은 일반적으로 진행형 사용하지 않습니다.  (예 음악을 듣는중, "I am hearing music" 쓰지 않는다)

hear와 only 감각을 통해 느끼는 동사를
지각동사라고 한다. see, feel, hear, taste, smell, listen to, watch 등이 있다.
유사하게 혼돈하는 것이 감각동사이다. 
감각동사(오감동사라고도 한다)는 
feel, smell, look, taste, sound가 있다. 사람의 오감에 대한 느낌(소감)이라고
이해하면 되겠다. 


지각동사
외적 요인에 의지와 상관없이 느끼는것
felt someone touch my shoulder.
누군가 나의 어깨를 건드린 느낌이 든다
She watched her child draw a picture.
그녀의 아이들이 그림 그리는 것으로 보였다. 
5형식 (주어+동사+목적어+보어)
감각동사
내가 느끼는 대상 감각 느낌
The silk dress feels smooth.
이 실크는 부드러워.
You look nice
당신은 좋은느낌(좋은사람)이 든다. 
2형식 (주어+동사+보어)

4) Listen과 hear 간단한 예시 문장 

Listen
I listen to music every day.
음악을 듣다
I Listen to the birds singing. 
새소리를 듣다
I listened carefully to his advice.
그의 조언을 들었다.
I am listening to a podcast right now.
팝캐스트 듣는중이다.
She listened intently to the speaker.
강연을 집중하여 들었다. 
Hear 
I heard a strange noise.
이상한 소리를 듣다
Did you hear the news?
그 뉴스 들었어?
I can't hear you well
너의 목소리를 들을수 없다. .
I heard someone calling my name.
나를 부르는 소리를 듣다. 
Have you heard the latest gossip?
최신유행어 들어 보았니?

 

300x250

 

2. Listen 과 hear  단어로 보는 인생

 

1) listen과 hear의 의미로 보는 삶의 생각

우리는 평생을 소리와 같은 감각을 우리는 삶의 의미를 느끼게 된다. 그러나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인생의 선택을 하기도 하고, '나'라는 존재를 오감을 통해 정체성을 만들어 간다고 생각된다. 더불어 각기 다른 해석은 개개인의 정체성이 다르기에 우리가 사는 사회는 협력과 갈등을 수반하는 복잡한 시스템으로 돌아가고 있다. 

인생은 마치 복잡한 오케스트라와 같다. 악기들이 저마다의 소리를 내며 아름다운 조화를 이룬다. 우리 삶에는 끊임없이 다양한 소리 속에서 평생을 산다. 하지만 단순히 소리를 듣는 행위자체로 모두 이해하지 못하는 것과 같다. 마치 'hear'과 'listen'의 차이처럼 말이죠.

'hear'은 단순히 소리를 듣는 것입니다. 주변의 소음, 자동차 경적 소리, 빗소리 등 우리의 의지와 상관없이 귀에 들어오는 모든 소리들을 말합니다. 하지만 'listen'은 다릅니다. 'listen'은 의식적으로 주의를 기울여 듣는 것입니다. 사랑하는 사람의 속삭임, 은사님의 조언, 마음을 울리는 음악처럼 우리가 진정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소리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인생을 살아가면서 우리는 수많은 사람들과 만나고 헤어집니다. 그들의 이야기를 'hear'만 한다면 그저 스쳐 지나가는 소음에 불과할 것입니다. 하지만 'listen'한다면 그들의 삶과 경험에서 귀중한 지혜를 얻을 수 있습니다. "듣는 것은 일종의 만짐이다."라는 에블린 글레니의 말처럼, 진심으로 귀 기울이는 것은 상대방의 마음을 어루만지고 진정한 소통을 가능하게 합니다. 

때로는 우리 자신의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무언가를 하는 것의 일부는 듣는 것이다. 우리는 듣고 있다. 태양에게. 별들에게. 바람에게."라는 마들렌 렝글의 말처럼, 자연의 소리, 마음속의 속삭임에 'listen'하면 내면의 평화를 찾고 삶의 방향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listen'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해하려는 의도로 듣지 않는다. 그들은 대답하려는 의도로 듣는다."라는 스티븐 코비의 말처럼, 우리는 종종 자신의 생각에 사로잡혀 상대방의 말에 귀 기울이지 못합니다. 우리의 뇌 속에 이미 학습된 일상 속에 상대(사회)에 대한 온갖 장애물(편견)을 가지고 살아가기에 그냥 소리로서 흘러 보내게 되지요. 그래서 항상 겸손한 마음 자세와 다른 시각으로 보는 폭넓은 생각이 필요합니다. 

 "사람들이 말할 때, 완전히 들어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절대 듣지 않는다."라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말처럼, 진심으로 귀 기울이는 것은 상대방에게 존중과 공감을 표현하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지혜는 말하고 싶을 때 평생 듣는 것에 대한 보상이다."라는 더그 라슨의 말처럼, 'listen'을 통해 우리는 세상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더욱 현명한 삶을 살 수 있습니다.

 나 자신의 내면에 편견과 자만을 버리고
겸손한 마음으로 세상을 받으들이 고, 나의 내면의 소리에 집중하면서
나의 정체성을 찾는 것이 인생이 아닌가 생각된다.  

소리를 듣는 사람
<삶의 소리>

 

2) listen과 hear의 명언 정리 

  • "듣는 것과 듣는 것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 - G. K. 체스터튼
  • "말할 때는 이미 알고 있는 것을 반복할 뿐이다. 하지만 들으면 새로운 것을 배울 수도 있다." - 달라이 라마   
  • "듣는 것은 말하는 것을 듣는 것이다. 듣는 것은 말하지 않는 것을 듣는 것이다." - 사이먼 시넥   
  • "의도를 가지고 듣는 것은 기술이 아니라, 우리 자신의 마음속에서 실행되는 자신에 대한 영화에서 다른 사람이 만드는 영화나 그림에 집중하도록 하는 행동으로 뒷받침되는 개인적인 가치이다." - 스티븐 코비   
  • "듣는다는 것은 조용히 있는 것이 아니라 존재하는 것이다." - 크리스타 티펫  
     
  • "우리가 들을 때, 우리는 누군가를 존재하게 한다." - 로리 부캐넌   
  • "가장 진실한 존중의 형태 중 하나는 실제로 다른 사람이 하는 말을 듣는 것이다." - 브라이언트 H. 맥길   
  • "듣는 것은 재능보다 주의를, 자아보다 정신을, 자신보다 타인을 요구하는 예술이다." - 딘 잭슨   
  • "듣고 관찰하는 것을 직업으로 삼으면 말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로버트 베이든 파월   
  • "내가 아는 성공한 사람들 대부분은 말하는 것보다 듣는 것을 더 많이 하는 사람들이다." - 버나드 바루크   
  • "말할 때는 이미 알고 있는 것을 반복할 뿐이다. 하지만 들으면 새로운 것을 배울 수도 있다." - 달라이 라마
  • "사람이 대답하기 전에 듣지 아니하면 그것은 그의 어리석음이요 수치니라" (잠언 18:13)

 

마치며

Hear와 Listen에 단어에 대한 심오한 차이를 알아보았다. 수많은 단어들 속에 살고 있지만, 그냥 보이니깐 보는 것이냐, 그것을 이해하고 나의 뇌 속에 생각의 로직을 넣어, 나의 삶에 일부에 녹이느냐에 따라 나의 의미, 즉 정체성을 가지게 된다고 생각된다. 본인도 나의 기존에 학습된 장애물로 인하여 상대의 말을 흘러 보내는 경우가 많다. 필터링도 필요하고 들어야 할 것도 있을 수 있다. 온갖 정보를 받아들이고 생각하기에는 나 자신이 버거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듣는 자세와 마음가짐은 고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두 단어의 차이를 통해 삶의 자세를 생각하게 된다. 모든 분들이 주변에 이루어지는 다양한 소리 듣는 것에 한번 살펴보고, 본인 자신에게 삶의 의미를 만들어 가면 좋겠다.  

 

300x250
300x25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