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KRX 금거래란 무엇인가? (금거래방식,개설방법,거래방법, 거래 단위,금함량표시 및 특징)

경제,사업/경제,금융

by hi쭌 2024. 12. 17. 08:22

본문

320x100
300x250

요즘 금거래와 관련된 사항이 많이 나오는 것 같다. 실물금 보유냐 금융상품을 통한 거래냐 궁금한 점은 많지만 차근차근 개념을 가지고 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경험하지 못하면 알지 못하면 실수를 하면서 배우는 것이라고 생각이 든다. 올해도 금 가격 상승을 보이고 있고, 금 투자와 관련하여 너무 많이 듣게 된다. 안전 자산이라고도 하고, 불안정한 정세에는 금투자가 좋다는 이야기도 하기 때문이다. 중국의 금 투자 매입을 정부차원에서 한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고, 아직까지 세계경제가 불안정한 상황에서 소소한 경험을 하고자 다양한 금투자 중에 접근성이 용이한 KRX 금거래와 관련하여 정리하여 보았다. 


KRX금투자
<KRX 금투자>

1. KRX 금거래란 무엇인가?

골드바
<골드바 이미지>

1) 금 가격의 변동 추이와 현상

 금거래는 장기 투자 관점으로 보아야 할 것 같다. 꾸준히 저축하고, 씨드머니로  투자관점으로 보면 좋지 않을까 생각된다. 여러 매체를 보면 금은 장기적으로  관점에서 오르는 형태이고, 특별히 호재가 있는 기술주나 원자재 수요에 의해 변동이 심하다고 볼수 없지 않은가 생각 들기 때문이다. 더불어 국가차원에서 가치저장 수단으로 금의 보유를 중요시하고 있고, 경쟁적으로 금 보유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금가격 추이
<금가격 10년 추이, 출처: KRX자료-네이버>

 그래프만 보면 전체적으로 오르는 모양이지만 단기로 보면 휴식기가 있고, 요동치는 형태이다. 그래서 장기투자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하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다. 

◈ 금값변동 영향 요소 ◈

  경기 전망이 좋으면 수요에 의한 금값 상승도 있지만, 정반대의 경우에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보임. 

  • 금/은 산업 필수재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경기 전망 영향 (수요가 증가와 감소)
  • 인플레이션 기대가 높아지면 금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
  • 실질금리가 하락하면 금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
  • 달러 가치가 약세를 보이면 안전 자산인 금의 수요가 증가(금값 상승)
  • 글로벌 금융 불안이 발생하면 금값이 상승
  • 기축통화로서 달러의 약화(금값이 상승) 
  • 국제 사회의 정세와 분위기 영향 

 

2) KRX 금거래

  • KRX 금거래는 한국거래소에서 운영하는 금 현물 거래 시스템
  • 정부의 금 유통체계 혁신과 금 거래 양성화 방안 도입
  • 개인 투자자들은 금을 주식처럼 거래
  • 투명하고 인증된 금 현물을 매수하고 매도할 수 있는 기회
  • KRX 금거래는 1g 단위로 금을 거래 가능
  • 한국조폐공사가 인증하는 순도 99.99%의 고품질 금만 거래
  • 실물 인출 가능( 미니금 100g  또는 1kg 단위 거래 구분
  • 한국예탁결제원 보관

 

3) KRX 금거래와 다른 투자 방식 비교

거래의 편리성과 수수료 및 각종 세금이 비교해 보고 선택하는 것도 좋을 듯하다. 

KRX 금거래 현물 구매 금(골드)전용통장(은행) 금 현물&선물 ETF/금펀드
- 주식 매매 방식(현금화 용이)
- 적은 수수료/보관료(일부사)
- 1g 단위 거래 가능
- 양도,배당,이자 소득세 면세
- 금융소득세 과세 제외
- 실물인출시만 부가세 10%
- 실물 보유가능
- 부가세,수수료(15%)만 지불
- 차익에 대한 수수료 없음
- 차익/배당 소득 없음 
- 상속,증여 세금 없음
- 현물 보관 불편
- 대량 구매시 장점
- 선물용/기념용 적합
- 0.01g 단위 가능
- 현금 입금-자동매매
- 매매 수수료 발생
- 차익/배당 소득 15.6%
- 금융종합소득세 과세
- 실물인출 부가세 10%

- 다양한 운영방식이 간접 투자 방식으로 금시세와 차이가 발생
- 매매수수료 발생
- 배당소득세 등  발생
- 실물 인출 불가
환율 변동에 영향(금선물 환햇지- 제외)
금투자의 방법은 여러가지이고, 각종 혜택과 세금 관계를 꼼꼼히
따져 보아야 할 것 같다. 수수료나 세금 관계는 수익과 관련이 있으므로
중요한 요소이고, 특히 환율 변동에 따른 구입가격 또한
중요한 사항으로 보인다. 

 

4) KRX 금거래 계좌 개설 방법 

 (1) 계좌 개설

 HTS 증권 거래 계좌가 있으면 쉽게 개설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① 증권 거래 계좌가 없으면 증권 거래 계좌 개설 기본 (HTS)
② 증권사 마다 틀리지만 계좌 개설 ▶계좌 종류중 "금현물(KRX)"
     (거래신청 관리▶KRX금 거래신청)
  - 거래계좌 개설 인증(성명,주민번호,신분증-필요시)
  - 출금 계좌 지정(종합통장) ※직접 입,출금 필요시, 추가 실명확인 필요
  - 인증 확인 완료

   (2) 거래 방법

   직접 입출금 방식이 아니면 통합계좌에서 해당 금현물 계좌로 투자금 입금(예수금 전환)

① HTS  주식 ▶ 금 현물(KRX) 
② 금현물 현재가 / 주문 
③ 금현물 1kg 과 미니금 100g 거래 선택 
④ 매수가 확인 및 체결 요청
   ※ 향후 1kg 현물로 인출할지, 100g 단위로 현물 인출 선택  (금1kg 이면 ^^)

 

KRX 금거래 방식
<KRX 금거래 방식, 출처:한국거래소>

 

300x250

 

(3) 체결 방식 (체결 수수료 발생)

    시가 체결과 종가 체결이 있다.  운영시간 : 09:00 ~ 15:30 

시가 체결 08:30 ~ 09:00 [주문] ▶ 09시 시가체결 [결제:10:30] 
종가 체결 09:00 ~ 15:30 [주문] ▶접속매매종가   [결제:16:00] 

※ 시가/종가 체결 방식은 은행별 상이할 수도 있음. [신한증권 기준]

※ 주문 단위는 10원, 1g = 1주, 최대 5000g 1회 주문가능

(4) 입금과 출금 시간

- 당일 체결과 당일 출금이 가능

(5) 현물 인출 (부가세 등 발생) 

 -  가까운 해당 거래 증권사에 문의하여 방문 인출(해당 투자의 기준 1kg 또는 미니금 100g 단위)   

(6) 투자 유의 사항 

  • 각 선택지는 장단점이 있으며, 투자자의 상황에 맞는 방법을 선택
  • 금 가격은 10년 동안 고점 대비 회복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음
  • 금 투자가 항상 안전하다고 보장되지 않으며, 주의를 요함 
  • 큰 손이나 경제 이슈에 분위기에 쉽게 투자를 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판단이 중요함

7) 금거래의 단위 

  • 국제 금 거래는 온스(oz)로 31.11g
  • 한국표준금거래소(KRX) 금 시장에서는 1g 단위로 거래
  •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적격생산업자와 적격수입업자들이 공급하는 금은 1kg(1,000g) 단위로 출고
  • 미니금은 100g 단위로 출고
  • 1돈의 단위  : 3.75g 이고,  10돈이 1냥

 

현재 시세로 1kg이면 1억이 넘고,
100g 이면 1천만원이 넘는다.
현물인출을 할일은 없겠지만
꾸준한 투자의 결과물이 될 수도 있다. 
다만, 꼼꼼히 본인만의 투자방식과 공부가 필요할 것 같다. 

8) 금의 함량(순도) 표시 및 색상

 (1) 금의 순도 단위

 금의 함량(순도) 단위는 2가지로 표시될 수 있다. 액세서리등의 보이지 않는 곳이나 고리등에 볼 수 있다. 

K(캐럿) 천분율
- K(캐럿): 순금은 24K로 표시
- 18K(또는K18) : 75%  순도를 가진 금 표시 (24분의 18)
- 14K(또는K14) : 58% 순도를 가진 금 표시 (24분의 14)
- 금의 순도를 천분율로 표시하는 방법
- 999.9는 99.99%의 순금
- 18K는 천분율로 750로 표시(금함량75%)
- 14K는 천분율로 585로 표시(금함량58.5%)

 (2) 금의 순도별 색상 특징 

  정확한 금의 순도에 대해 확인이 필요하다면,  근처 금은방(금거래소)에서 수수료를 내고 확인하는 것이 정확하다. 

구분 순도 특징
24K 99% 짙은 노랑
18K 75% -기본 밝은 노랑
▼합금에 따라
- 옐로우골드,로즈골드
  (순금/은/구리 비율)
- 화이트 골드
  (순금/팔라듐/아연 등) 
- 백금
  (순금/팔라듐/특수금속 등) 
14K 58%
10 41%

 

마치며 

여러 매체를 보면, 내년도 금 가격은 상승한다고 한다. 약간의 조정기간이 있을 것이고, 변동성이 있고, 느리게 움직이는 것이 금 가격이 아닌가 싶다. 안전 자산이라고 하지만 수익을 위해 단기적으로 관점보다는 장기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좋다는 생각이 든다. 여러 정세나 환율등에도 영향을 받기에 상승된 현재 분위기가 앞으로도 꾸준하리라고 예측을 제시하고 있지만, 삶에 정답이 없듯이, 금 가격에도 정답은 없는 것 같다. 오로지 본인의 꾸준한 굳은 맘으로 소소하게 모으는 모으면서 알아가야 하지 않을까 쉽다. 뉴스나 매체에서 들은 금거래와 관련하여 이 정도는 알게 되었구나로 만족하고 실행하면서 배워 나가야겠다. 

 

 

 

 

 

300x250
300x25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