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id-19가 유행처럼 전 세계를 강타하며, 바이러스에 대해 민감하게 다가온 시절이 있었다. 보이지 않는 곳에는 보이지 않는 유, 무형의 물질이나 생명이 존재하고, 개개의 특징과 반응에 의해 우리의 일상 또는 건강에 영향을 주는 것 같다. 인간도 진화하지만, 어찌 보면 다양한 미세한 존재도 진화한다고 본다. 그래서 우리가 사는 세상은 무한함도 있고, 해결할 수 없는 인류의 과제, 다양한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 속에 살지 않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독감 등 각종 감기가 유행한다. "감기조심하세요"가 요즘 문자를 장식한다. 아침에 HMPV에 대한 기사를 보았다. 전 세계에 유행처럼 다가올 바이러스인지, 어떤 영향을 주는지 지식 정리하여 보았다.
1) hMPV 의 의미와 특징
뉴모바이러스의 어원은 그리스어로 허파를 뜻하는 pneumo와 라틴어로 점액질의 독을 의미하는 virus의 융합어 이다.
'메타뉴모바이러스'라는 이름은 그리스어 "meta"에서 유래되어,
"after" 또는 "with"를 의미
이 바이러스는 사람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hRSV)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hRSV "이후"에 발견되었거나
hRSV "와 함께" 분류된다는 의미에서 '메타'라는 접두사로 넣음
호흡기 세포와 친화적인 바이러스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2) hMPV의 증상
hMPV는 일반적으로 2~5일 동안 지속되는 경미한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유발
◈ hMPV는 콧물, 기침, 발열, 코막힘, 인후통, 호흡 곤란을 포함하여 COVID-19와 많은 증상을 공유한다는 점에 유의가 필요하고, COVID-19와 달리 현재 hMPV를 치료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항바이러스 치료법이나 백신이 없다.
hMPV는 일반적으로 겨울과 봄에 나타나는 계절성 바이러스인 반면 COVID-19는 연중 유행할 수 있습니다.
3) hMPV의 전파
hMPV는 감염된 사람과의 긴밀한 접촉 또는 오염된 표면과의 접촉을 통해 바이러스는 코, 입 또는 눈을 통해 체내로 이동한다. 전파는 다음과 같은 경로를 통해 발생
4) hMPV의 위험 요소
▶ 기관지염, 폐렴, 천식 악화, 호흡부전(심각한 경우), 2차 세균 감염 등의 합병증을 유발
5) 의사 상담을 받아야 할 시기
호흡곤란, 지속적인 고열, 증상 악화, 탈수 증상 (예: 입이 마르고, 소변량이 감소함) 시에 즉시 의사 상담을 통해 간이 시약 검사를 받으면 되며, 경과가 심할 시에는 기관지 체액 검사등을 실시
6) hMPV의 치료
hMPV에 대한 특정 항바이러스 치료법이 없으며, 치료는 증상을 완화하고 신체의 자연 치유 과정에 중점을 둡니다. 대부분의 경우 7일 ~ 10일(발병 3~6일, 회복 기간 2 ~ 10일)을 가진다.
7) hMPV 감염 예방
현재 hMPV에 대한 백신은 없습니다. 예방 조치는 주로 위생 관행을 통해 바이러스의 확산을 줄이고 감염된 개인과의 긴밀한 접촉을 피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① 손 위생: 기침, 재채기 또는 잠재적으로 오염된 표면을 만진 후에는 특히 비누와 물로 20초 이상 손을 자주 씻습니다. 비누와 물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알코올 기반 손 소독제를 사용합니다. ② 호흡기 위생: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는 티슈나 팔꿈치로 입과 코를 가려 호흡기 비말의 확산을 방지합니다.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지 마십시오. ③ 사회적 거리두기: 아픈 사람과의 긴밀한 접촉을 피하십시오. 특히 붐비는 곳에서는 다른 사람과 건강한 거리를 유지하십시오. 붐비거나 환기가 잘 안 되는 공간에서는 마스크 착용을 고려하십시오. ④ 환경 위생: 문 손잡이, 전화기, 조리대와 같이 자주 만지는 표면을 정기적으로 청소하고 소독합니다. ⑤ 개인 건강: 아플 때는 집에 머물러 바이러스가 다른 사람에게 퍼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면역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균형 잡힌 식단, 규칙적인 운동, 충분한 수면으로 건강한 생활 방식을 유지하십시오. 다른 감염으로 인한 합병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예방 접종을 최신 상태로 유지하고 정기 검진을 위해 의사를 만나십시오. ⑥ 기타 위생 관행: 다른 사람과 컵과 식기를 공유하지 마십시오. |
8) 국내 hMPV 감염 관련 경과 사항
한국에서 hMPV는 2000년대 초에 처음 발견, 2004년부터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습니다.
hMPV를 제4급 급성호흡기감염증 표본감시 대상으로 지정하여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있으며, hMPV 감염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 수칙 준수 및 예방접종을 강조
|
마치며
사람 메타뉴모바이러스와 관련되어 유행처럼 들러 오늘 것 같다. COVID-19와 같이 치료제가 없고, 다소 증상면에서 다소 약한 바이러스라고 이야기하는 것 같다. 다면 유아, 노령, 각종 질환이 있는 면역이 약한 분들에게는 해당 바이러스가 치명적일 수 있다. 더불어 제일 중요한 것은 개인위생임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있다. COVID-19 때와 같이 모든 바이러스성 질병은 위생에 초점을 맞추어 예방을 해야 한다는 것은 이제 우리 몸에 익숙한 사실인 것 같다. 의료 기술이든 사회 발전이든 단계를 올라 갈수록 어찌 보면 우리에게 당면한 숙제들도 하나씩 늘어나지 않는가 생각이 든다. 유한하기도 하지만 무한하기도 한 삶. 신비스러운 세상이 아닌가. 매서운 한파에 바이러스성 독감에 유의해야 할 것이고, 개인위생에도 관심을 가질 시기인 것 같다.
[참조 사이트]
- Care hospital https://www.carehospitals.com/blog-detail/human-metapneumovirus-hmpv/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Human_metapneumovirus - Webmd https://www.webmd.com/lung/what-is-human-metapneumovirus - 젊은 성인 환자에서 인간 메타뉴모바이러스 폐렴에 의한 급성 호흡곤란증후군, 2024 김태완, 김원영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중앙대학교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https://www.ekjm.org/journal/view.php?number=25885&viewtype=pubreader - 급성 호흡기 감염증 소아에서 Human metapneumovirus 감염의 임상 양상.2007, 을지의과대학교 소아과학교실, 방사선과학교실,서울의료원 소아과, 보라매병원 소아과,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 질병관리청 https://www.kdca.go.kr/gallery.es?mid=a20503010000&bid=0002&list_no=146108&act=view |
가글, 나에게 올바른 사용법 알고 계셨나요? 숫자 '30' 기억하기(가글효과, 올바른 선택, 사용방법, 주의사항) (5) | 2025.01.19 |
---|---|
급성 장염 증상과 치료 (발병 원인, 증상, 진료후 식사방법, 예방 방법) (16) | 2025.01.16 |
겨울철 건조한 피부, 간지러운 피부 관리방법(원인, 생활습관TIP,좋은 음식, 보습방법, 타입별 제품) (18) | 2025.01.06 |
노화와 근육 감소는 왜 발생할까? (노화 원인, 근육감소 원인, 운동과 식사, 예방방법) (4) | 202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