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급성 장염 증상과 치료 (발병 원인, 증상, 진료후 식사방법, 예방 방법)

일상과 생각/건강

by hi쭌 2025. 1. 16. 08:31

본문

320x100
300x250

 


겨울철이기는 하나 장염에 걸리는 사람들이 많다. 식당에서의 조리나 보관등에서도 발생하기도 하고, 춥다는 이유로 실내에 음식을 두는 경우 원인을 알 수 없지만, 다양한 원인으로 장염이 오는 것 같다. 장염 진료 후에 어떻게 식사를 하는지에 대해 궁금해하는 분들을 종종 보게 된다. 병원에서 간단한 메모를 주시는 경우가 있었다. 장염에 걸리면 말할 수 없는 통증도 있고, 금방 경과가 좋아 일상으로 복귀하는 경우도 있는 것 같다. 겨울이지만 장염은 언제나 발생하는 사항이고, 경험해 보았기에 한번 일반적인 사항에 대해 정리하여 보았다. 


장염 예방하기
<장염 예방하기>



1. 장염의 원인과 주의 사항

위생 관리가 소홀해지기 쉬운 환경에서는 급성 장염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급성 장염은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위와 장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설사, 복통, 구토, 발열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장염 아파하는 사람
<장염 증상과 치료>

1.급성 장염의 주요 원인

노로바이러스와 장염
<노로바이러스, 출처 식품안전나라 누리집>

1) 노로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는 모든 식품을 매개로 발생하며, 가장 흔한 원인이다. 일반적인 증상인 설사 증상을 동반

2) 세균

급성 장염 유발 원인의 세균으로는 살모넬라균, 캄필로박터균, 이질균, 대장균등이 있으며, 여행자 설사의 경우 세균성 원인 중에서 장독소성 대장균(ETEC)이 30%, 장관 응집성 대장균(EAEC)이 26%를 차지

[부연-참조:제주감염병관리지원단]
① ETEC(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 제4급 법정감염병(장관감염증) 

- 미생물학/병인 : 열저항 독소, 열민감 독소 2종류의 장독소를 생산하여 설사를 일으킴
- 전파경로 :  여행자 설사의 주된 원인균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 섭취를 통해서 감염됨
- 임상증상 : 복통, 구토, 산혈증, 허탈, 탈수가 동반되기도 함
- 예후 : 대부분 저절로 호전 (잠복기 3~4일)

② EAEC(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  감염증 [제2급 법정감염병]

- 병원소: 소, 양, 염소, 돼지, 개, 닭 등 가금류의 대변에서 Shiga독소를 생성하는 E.coli가 발견되며, 소가 가장 중요한 병원소임
- 전파경로 :  오염된 식품, 물을 통하여 감염되며 사람-사람 간 전파도 중요한 전파경로임(대부분의 발생은 소고기로 가공된 음식물에 의하며 집단 발생은 조리가 충분치 않은 햄버거 섭취로 발생하는 예가 많음)
- 임상증상 : 무증상 감염 또는  오심, 구토, 비 혈변성 설사, 복통, 미열, 오심, 구토, 수양성 설사에서 혈성 설사로 이행

※ 감영증 1급은 즉시, 2~3급은 24시간내에 신고 사항, 4급의 7일이내 신고와 역학조사 모니터링이지만 2급은 격리, 1급은 음압 격리 1급은 전파 및 위독성이 높다고 할수 있다. 

◾ 합병증

- 용혈성요독증후군, 혈전성혈소판감소성자반증 등





◾ 전파경로

- 여행자 설사의 주된 원인균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 섭취를 통해서 감염됨

- 분변-구강 경로에 의한 전파는 드묾





■ 증상 및 임상양상



◾ 임상증상

- 복통, 구토, 산혈증, 허탈, 탈수가 동반되기도 함



◾ 잠복기

- 보통 3-4일(1-8일)



◾ 예후(증상결과)

- 대부분 저절로 호전



◾ 병원체

- 병원체는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 미생물학/병인 : 열저항 독소, 열민감 독소 2종류의 장독소를 생산하여 설사를 일으킴



◾ 전파경로

- 여행자 설사의 주된 원인균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 섭취를 통해서 감염됨

- 분변-구강 경로에 의한 전파는 드묾


◾ 병원체

- 병원체는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 미생물학/병인 : 열저항 독소, 열민감 독소 2종류의 장독소를 생산하여 설사를 일으킴



◾ 전파경로

- 여행자 설사의 주된 원인균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 섭취를 통해서 감염됨

- 분변-구강 경로에 의한 전파는 드묾



3) 기생충

기생충으로는 지아르디아, 아메바, 크립토스포리디움 등이 있음


이외 특정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항생제 복용 등이 급성 장염을 유발

 

[부연] 노로바이러스

1968년 미국 오하이오 주 노웍(Norwalk)에서 발생한 급성위장염 환자의 대변에서 발견. 노웍 바이러스라고 칭하였으며, 현재는 노로 바이러스라고 쉬운 단어도 바뀌었음. 공통적인 사항이지만, 바이러스를 구성하는 RNA가 낮은 온도에서 더 잘 보존, 추운 환경에도 존재. 영하 18도 정도의 냉동고 온도보다도 낮은 영하 20도에서조차 활동하며, 영하 80도에서도 생존, 고열에 가열 조리하여 제거할 수밖에 없음.  

[부연] 노로바이러스와 로타 바이러스 차이 

두 바이러스 모두 장염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라는 공통점이 있다. 

구분 노로바이러스 로타 바이러스 
영향 연령대 모든 연령대  5세 미만 및 영유아, 어린이
백신 백신없음 백신
증상 지속기간 1 ~ 3일 3 ~ 8일
전파경로 공기중 비말 대변,구강
증상 구토,설사,복통, 발열
합병증 기본적으로 탈수 증상에 의한 합병증

 

[부연] 바이러스와 세균의 차이

구분 세균 바이러스
특성 균에 의한 것 또는 균이 생산 하는 독소에 의하여 식중독 발병 크기가 작은 DNA 또는 RNA가 단백질 외피에 둘러 쌓여 있음
증식 온도, 습도, 영양성분 등이 적정 하면 자체 증식 가능 자체 증식이 불가능하며 반드시 숙주가 존재하여야 증식 가능
발생 일정량(수백~수백만) 이상의 균이 존재하여야 발병 가능 미량(10~100) 개체로도 발병 가능
증상 설사, 구토, 복통, 메스꺼움, 발열, 두통 등 메스꺼움, 구토, 설사, 두통, 발열 등
치료 항생제 등을 사용하여 치료 가능 하며 일부 균은 백신이 개발되었음 일반적 치료법이나 백신이 개발이 느림
2차감염 2차 감염되는 경우는 거의 없음 대부분 2차 감염됨
장염의 원인은 알레르기와 항생제 연관도 있지만
상한 음식, 오염된 음식, 물을 통한 원인 등 
음식물 섭취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하겠다.  

 

300x250

2. 급성 장염의 증상

주요 증상 설사와 복통입니다. 설사는 횟수가 잦아지고 변이 묽어지는 것을 말하며, 심한 경우 탈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복통은 배꼽 주변이나 아랫배에 발생하며, 경우에 따라 심한 통증을 동반
기타 증상 구토, 메스꺼움, 발열, 식욕 부진, 복부 팽만감, 두통, 근육통 등의 증상(원인균의 종류, 감염 정도, 개인의 건강 상태 등에 따라 차이)과
심한경우 혈변이나 점액변을 보이기도 하며, 탈수가 심해지면 어지러움, 쇼크 등의 심각한 증상

 

3. 급성 장염의 치료

장염 진료와 처방
<의사 상담과 진료>

 자연적인 호전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다양한 원인에 의한 증상이므로,  전문의의 진료 상담을 통해 치료를 하는 것이 일상 복귀와 증상에 따른 고통을 완화하고,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상담이 우선이라고 본다.  

 일반적인 치료와 진단 다음과 같다.

① 수액 치료
 - 탈수가 심할시  수액 치료를 통해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
② 약물 치료:
지사제, 항생제, 장 점막 보호제 등의 처방이 있고, 증상 원인에 따라 처방이 바뀔수 있음  
③ 추가 검사
- 고열등 증상의 심한 경우 다른 장염과의 감별 진단을 위해 대장내시경 또는 S상 결장경 검사등도 있을수 있음

[부연] s상 결장경 검사
 - 항문에서부터 오른쪽 꺽인 부위(s 자형- 결장)의 점막의 상태, 내시경 검사

 

4. 처방 후 생활 주의 사항

 산업안전분야 지식인 활동을 하면서, 보게 되는 것이 장염 진료 후 금기사항이나 어찌해야 하는지 문의를 하는 경우가 많아, 처방 후 주의사항 안내문을 기준으로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답변분야는 아니지만 많이 보게 된다]

1) 장염 진단 후 식사 단계

장염 진단 후 식사 방법은 증상 완화 및 빠른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초기에는 소화기관에 부담을 줄 수 있는 음식을 피하고, 자극적이지 않은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① 초기 (1~2일)
설사와 구토 등의 증상이 심할 때는 금식을 하거나 미음, 흰죽 등 소화가 쉬운 음식을 섭취합니다. 수분 보충을 위해 물, 이온 음료, 보리차 등을 마시는 것이 좋음

② 증상 완화 시
설사와 구토 증상이 완화되면 흰살생선, 닭고기, 두부, 계란 등 부드러운 단백질 음식과 익힌 채소, 껍질을 벗긴 과일   

③ 회복기
증상이 호전됨에 따라 죽에서 밥으로, 밥의 양도 조금씩 늘려가며 식사량을 늘립니다. 기름진 음식이나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고, 섬유질이 많은 채소나 과일은 익혀서 먹는 것이 좋습니

 

2) 장염 진료 후 식단

진료후 식단
<진료후 식단>

 자극적이지 않고, 기름지지 않고, 소량이고, 수분 섭취 등 장에 부담이 없는 식단으로 실시

좋은 음식
- 미음, 죽: 쌀미음, 조미음, 흰죽, 닭죽 등 소화가 잘 되는 음식    
- 단백질 음식: 기름기를 제거한 흰살생선, 닭고기, 계란찜, 연두부 등    
- 채소: 익힌 채소, 으깬 감자, 토마토 등    
- 과일: 바나나, 복숭아 등 섬유소가 적은 과일    
- 수분 보충: 물, 이온 음료, 보리차    
- 염분, 칼륨 보충: 육수, 바나나, 삶거나 으깬 감자, 토마토, 복숭아 등    
피해야할 음식
- 맵고 짠 음식: 자극적인 음식은 장 점막을 자극하여 설사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고섬유질 음식: 생채소, 콩, 잡곡 등은 소화가 어려워 장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 유제품: 우유, 요구르트 등은 설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카페인 음료: 커피, 홍차, 콜라 등은 이뇨 작용을 촉진하여 탈수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알코올: 알코올은 장을 자극하여 설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밀가루 음식, 질긴 음식, 가스 유발 음식: 소화가 잘 되지 않는 밀가루 음식, 오래 씹어야 하는 질긴 음식, 가스가 많이 차는 콩, 유제품 등    

 

소량씩 자주 섭취하고 처음에는 소량씩 자주 먹는 것이 좋습니다.   
음식 종류 점진적으로 미음이나 죽으로 시작하여 흰살생선, 닭고기, 두부, 계란 등으로
점차 확대하고, 익힌 채소와 과일을 섭취합니다.   
경과 관찰에 따라 식사 후 복통이나 설사 등의 증상이 악화되지 않는지
확인하면서  식사량과 종류를 늘려갑니다.   
300x250

3) 장염 환자 발생 시 주의 사항 

  • 증상 환자와 가족 간 접촉 금지(주의)
  • 집단시설을 방문하는 영유아는 등원 자제 
  • 증상 환자의 구토물 주변 소독(예, 변기 주변) 
  • 증상 환자와 공용 화장실, 문고리 등의 소독 및 동선 등에 청결 유지 

 

5. 장염의 예방 방법  

손씻기
<장염예방, 손씻기>

① 손 씻기
흐르는 물에 비누로 손을 꼼꼼하게 씻는 것은 급성 장염 예방의 가장 기본
특히 화장실 사용 후, 기저귀 교체 후 식사 전, 조리 전에는 반드시 손을 씻시기 생활화
   
② 음식물 섭취
음식은 충분히 익혀 먹어야 하며, 오염된 음식이나 물에 주의
무관심한 겨울철 포함하여,  여름철에는 음식물 보관에 주의하여 상한 음식에 주의 섭취
   
③냉장 보관
어패류와 육류는 냉장 보관하고, 조리 시에는 80℃ 이상의 온도에서 7~8분 이상 가열
   
④ 위생적인 환경
주방과 식기 등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조리 도구는 사용 후 깨끗하게 세척
질병 발생 후 오염된 표면은 소독제로 철저히 세척하고 살균 및 급성 장염 환자와 식기를 공유도 금지    

 

마치며

겨울이든 여름이든 위생 관리에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 우리 주변에는 바이러스든 세균이든 보이지 않지만, 공생 관계에 있기도 하지만, 사람과 맞지 않는 메커니즘으로 안 좋은 영향을 주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어 있다. 모든 일의 사고는 항상 예방이 우선이다. 급성 장염은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이지만, 적절한 예방과 치료를 통해 충분히 극복할 수 있습니다. 개인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고, 음식물 섭취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겠다. 설날 고향에서 싸 오는 음식들이 냉장고나 냉동실에 보관하는 경우가 많다. 냉장이든 냉동이든 안전하다고 생각하여 무심결에 섭취할 만한 시기이다. 적당히 가지고 오고, 시간이 지나면 과감하게 버리는 것이 냉장고 관리나 위생에도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도 작년 음식이 화석이 되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된다. ^^ 

 

 

 

 

 

참조(도움) 자료
National library medicine :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119329/
식품안전지식 https://www.foodsafetykorea.go.kr/main.do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ealtherapy/mealTherapyDetail.do?mtId=72
서울대학병원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459
클레버랜드병원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8275-rotavirus

 

300x250
300x250

관련글 더보기